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주거급여 혜택 총정리 (기준, 금액, 신청법)

by curiosity7 2025. 7. 10.

 

 

 

2025년, 대한민국 정부는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주거급여 제도를 더욱 강화했습니다. 주거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한 유형으로,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가구에게 임차료, 자가 수선비, 이사비용 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주거급여의 수급 조건, 지원 금액, 그리고 신청 방법까지 핵심 내용을 상세히 소개합니다.

 

 

주거급여 수급기준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주거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가구의 소득과 재산이 일정 수준 이하여야 하며, 주거 형태(전세, 월세, 자가 여부)도 고려됩니다. 2025년 기준 주거급여 수급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가구
  • 소득인정액 = 소득 + 재산 환산액이 해당 기준 이내일 것
  • 대한민국 국적자이면서 실제 거주 중인 주소지가 있어야 함

예를 들어 2025년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50%는 약 1,100,000원, 2인 가구는 약 1,800,000원입니다.

 

 

지원금액 – 2025년 주거급여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주거급여는 물가 상승과 임대료 상승을 반영해 지원 금액이 전년 대비 평균 5~10% 인상되었습니다.

① 임차급여

전세 또는 월세로 사는 사람은 지역별로 차등 지급되며, 아래는 일부 지역의 월 최대 지원액 예시입니다.

가구원 수 서울 (1급지) 중소도시 (2급지) 농어촌 (3급지)
1인 가구 약 330,000원 약 260,000원 약 210,000원
2인 가구 약 390,000원 약 310,000원 약 250,000원
3인 가구 약 470,000원 약 370,000원 약 300,000원

② 자가급여

자가주택 거주자의 경우 집의 노후 정도에 따라 수선비를 다음과 같이 지급받습니다.

  • 경보수: 약 450,000원
  • 중보수: 약 900,000원
  • 대보수: 최대 1,400,000원

③ 이사비 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긴급복지 수급 대상 중 이사가 필요한 경우, 이사비용 최대 500,000원까지 지원됩니다.

 

신청 방법 – 어떻게 신청하나요?

 

① 방문 신청

  • 장소: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서류: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통장사본 등

② 온라인 신청

  • 복지로: www.bokjiro.go.kr
  • 정부24: www.gov.kr
  •  

신청 후에는 시군구청에서 심사 후 결과를 통보하며, 지급은 매월 말일 기준으로 다음 달 10일 이내에 입금됩니다.

2025년 주거급여 제도는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서민과 저소득 가구에 실질적인 주거비 부담 완화 효과를 주고 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지역별로 차등 적용되는 임차급여는 물론, 자가 주택의 수선비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지원됩니다.

정부24 또는 복지로를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니, 해당 기준에 부합한다면 반드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